찰스 웨슬리
1700년대 중반, 옥스퍼드 대학의 한 젊은 학생이 사소한 일들에 첫 해를 낭비한 후 새로운 결심을 하였다. 그 다음 년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두 세 명의 젊은 학자들을 설득하여 나와 함께 대학 과정에 규정되어 있는 학업 과정을 준수하기로 작정했다. 이것은 나에게 '규칙을 따르는 자(Methodist)'라는 무해한 별명을 얻게했다.”
1700년대 중반, 옥스퍼드 대학의 한 젊은 학생이 사소한 일들에 첫 해를 낭비한 후 새로운 결심을 하였다. 그 다음 년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두 세 명의 젊은 학자들을 설득하여 나와 함께 대학 과정에 규정되어 있는 학업 과정을 준수하기로 작정했다. 이것은 나에게 '규칙을 따르는 자(Methodist)'라는 무해한 별명을 얻게했다.”
요한 웨슬리는 조직 신학자라기보다는 실천적 영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목회자 신학자였다. 그렇다고 웨슬레가 본질적인 신앙 체계를 갖고 있지 않았거나 신학적으로 비 정통이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주된 관심사는 본질적으로 목회였으며, 그는 사람의 영혼 상태에 대해 염려했다.
밀드리드 뱅스 와인쿱(Mildred Bangs Wynkoop)의 저서 웨슬레안-아르미안 신학의 토대(Foundations of Wesleyan-Arminian Theology) (1967, Beacon Hill Press of Kansas City)에 나와 있는 것처럼, 오래 전에는 웨슬리안-성결 전통과 나사렛 전통이 보통 웨슬리안-아르미니안 전통이라고 불렸었다. 많은 성결그룹과 나사렛 관계자들에게 이름의 반쪽인 웨슬레안 부분은 확실히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이유로든 알미니안 부분은 삭제되었다. 그러나 요한 웨슬레는 자신의 잡지를 발행했을 때 그 잡지를 《아르미니안》이라고 불렀다. 그렇다면 아르미니우스는 누구였으며, 그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그 교회들에 그가 남긴 유산은 어떤 것들일까?
"다른 이들에 대한 사랑의 빚을 제외한 다른 모든 빚은 다 갚아야 한다. 사랑의 빚은 결코 다 갚지 말아야 한다!” (로마서 13:8, TLB번역). 부채에 대한 언급은 종종 우리를 재정적 의무에 관한 생각으로 이끈다. 바울은 신자들에게 우리가 다른 빚들도 지고 있음을 상기시켜준다. 나사렛교회는 웨슬레안-아르미니안 신학 전통 가운데에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제이콥 아르미니우스(1560-1609)와 요한 웨슬레(1703-1791)에게 감사의 빚을 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영적 지도자들이 그들의 사상을 단순한 사고를 통해 만들어 낸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웨슬레는 존 칼빈(1509-1564)의 글들을 해석한 아르미니우스의 저작들에 대해 상당히 일치하는 생각을 가졌다.
나사렛교회의 신학적 가계도를 고려할 때 독일의 개신교 개혁자였던 마틴 루터(1483-1546)를 빼놓을 수 없다. 교회의 위기의 시간에 하나님은 이 어거스틴 수도회 수도사를 놀라운 방식으로 사용하셨다. 마틴 루터의 삶과 사역과 종교 개혁 전체에 있어서 결정적이고 가장 중요한 유산은 그리스도인 믿음에 대한 네 가지 주요 가르침인데 바로 solus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sola fide(오직 믿음), sola gratia (오직 은혜), sola scriptura (오직 성경)이다.
"이러므로 우리에게 구름 같이 둘러싼 허다한 증인들이 있으니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히브리서 12:1,2a)
그리스도의 교회를 2천 년 동안 가지들을 펼쳐 온 하나의 강력한 오크나무처럼 상상한다면, 이 가지들을 하나씩 세어 보는 것은 마치 그 뿌리로부터 자라난 모든 교회와 성도들의 이름을 세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이 나무의 뿌리는 하나님의 계시된 말씀이요 (그리스도), 그 줄기는 기록된 말씀이요(성경), 그 가지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전 세계의 여러 장소에서 모일 때 듣는 선포된 말씀이라(설교) 할 수 있다다.
연락처 holinesstoday@nazarene.org
문의나 피드백 이메일 holinesstoday@nazarene.org